↵

● 상괭이(Finless Porpoise / 학명 : Neophocaena phocaenoides)
- 특징 : 영어 이름 그대로 등지느러미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작고 몸이 가는 흰돌고래로 착각할 수도 있다. 주둥이가 없고 둥근 앞 머리 부분이 입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목이 대단히 유연하다. 크기와 형태는 지역적인 차이가 보고되어 있다. 몸 색은 전체가 회색이지만 나이가 많은 개체가 어린 개체에 비해 일반적으로 몸 색이 흰색을 띤 회색이다. 양자강의 개체군은 흑색형으로 거의 흑색에 가깝다. 상하 턱에는 13~22쌍의 이빨이 있다. 성체는 약 1.9m로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크다. 갓 태어난 새끼의 전체 길이는 70~80cm로 추정되며, 단독 또는 2마리가 대부분으로 많은 경우 12마리까지의 무리가 관찰되는 일이 가장 많다. 최대 50마리까지의 집단이 보고된 적도 있다. 다른 쇠돌고래류와 같이 행동이 그리 활발하지 않다. 배의 선두 물살을 따라 헤엄치는 경우도 없다. 해역에 따라서는 배에 접근조차 하지 않는다. 어미는 등위에 작은 돌기가 나 있는 부분에 새끼를 태워 이동한다는 관찰기록이 있다. 양자강에서는 상괭이가 수면 위에 도약하고 꼬리를 세운 것이 알려져 있다.
- 먹이 : 까나리, 전갱이, 정어리 등 작은 어류들
- 서식지 : 해역에 수중 50m 연안의 얕은 바다에서 서식한다. 예외적으로 중국과 한국에서 멀리 떨어진 황해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도 서식하는데, 여전히 바닷물의 깊이가 얕은 곳에서만 서식한다.
- 분포지역 : 태평양과 인도양, 페르시아만에 걸쳐 폭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종종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바다에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 번식 : 번식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조사된 지역이 없다. 보고에 의하면 양자강에서는 2월~4월, 일본에서는 4~8월이 번식 시기이다.
- 멸종위기등급 : 취약
|
<사진>

/JISADONG AnimalBook 지사동 애니멀북 컬렉션/
